안녕하세요. 파밍노트입니다.
요즘 GAP인증이 대세입니다. 정부가 2020년까지 전체농가의 50%가 받도록 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GAP인증이란 무엇일까요?
Good Agricultural Practices 의 약자로 직역하면 좋은 농업의 관례정도가 되겠네요. 우리나라에서는 '농산물 우수관리' 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생산단계에서 판매단계까지의 농산식품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GAP가 필요할까요?
일부 채소, 과일에서의 농약 검출 및 식중독 사건들이 많은 국민들에게 우려를 끼치고 있습니다. 김치에서의 기생충알 사건, 학교급식 사건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농산식품을 관리하는 것이 바로 GAP입니다.
국제적으로도 안전농산물 공급 필요성을 인식하여 Codex, FAO 등 국제기구에서 GAP기준을 마련했고 유럽, 믹구, 칠레,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GAP제도를 시행중입니다. 우리나라도 06년도 부터 시행해왔습니다.
GAP 현황
06년도 수박, 딸기 인삼 등 42개 품목에 대해서 시작을 했고 09년 12월에는 국내에서 식용으로 재배되는 모든 품목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연도별 지정현황
연도 | 인증품목(품목) | 인증기관(개) | 관리시설(개) | 인증건수(건) | 농가수(호) | 재배면적(ha) |
---|---|---|---|---|---|---|
2014 | 136 | 44 | 681 | 2,689 | 46,323 | 58,763 |
2013 | 132 | 48 | 756 | 2,499 | 46,000 | 58,703 |
2012 | 110 | 51 | 718 | 1,969 | 40,215 | 55,215 |
2011 | 89 | 49 | 606 | 1,756 | 37,146 | 49,548 |
2010 | 86 | 45 | 565 | 1,459 | 34,421 | 46,701 |
2009 | 59 | 43 | 484 | 1,233 | 28,562 | 40,081 |
2008 | 59 | 38 | 417 | 1,053 | 25,158 | 37,129 |
2007 | 50 | 31 | 316 | 364 | 16,769 | 24,754 |
2006 | 45 | 21 | 190 | 220 | 3,659 | 1,373 |
2014년 기준으로 46,323호수가 인증을 받았습니다. 인증건수는 2,689인데 호수가 많은게 이상하신가요? 농업인 부담을 최소하하고 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생산자집단 예를 들어 작목반, 농협등의 단체가 한번에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GAP인증의 개요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인증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영농일지 파밍노트 다운 -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farmingnote.android
전국 도매시장경매정보 파밍 도매시장 다운 -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farmingnote.farmingwholesale
댓글 없음:
댓글 쓰기